새집증후군

당신이 믿을 수 있고,

고객이 믿을 수 있는 

깨끗한 환경을

선물 하겠습니다.

새집증후군 이란?

(Sick building syndrome)

출처 :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정의

새집증후군은 새로 지은 집에 입주했을 때 이전에 없던 이상 증상이 신체에 나타나는 것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집안의 공기 오염에 의한 반응 중 화학 물질에 의한 반응을 의미합니다. 


원인

새집 증후군은 휘발성 화학물질 때문에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물질은 포름알데히드입니다. 포름알데히드는 자극성 냄새를 가진 무색 기체로, 물에 잘 녹는 특성이 있습니다. 주로 방부제, 접착제의 원료(건축, 가구 산업), 실내 장식을 위한 스프레이식 페인트에 사용되어 문제를 일으킵니다. 새집에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한 건축 자재를 사용했다면 이것이 수년 동안 실내로 방출될 수 있습니다.

 이외의 실내 화학물질로는 크실렌, 톨루엔, 벤젠, 유기인 및 연소방지제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내장제입니다.  특히 염화비닐은 천장, 벽, 마루의 쿠션, 시트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증상

새집으로 이사한 직후 여러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토피 피부염, 천식 등 기존의 알레르기 질환이 악화되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두드러기가 생깁니다. 눈, 코, 후두 및 기도 점막의 자극에 의해 증상이 나타납니다. 눈이 아프거나 가렵고, 목이 따갑거나 쉬고, 기침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외에 비특이적 증상으로 두통을 호소하거나, 쉽게 피로하거나, 무기력증에 빠질 수 있습니다.

 새집 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은 개인차가 큰 편입니다. 면역력이 약한 유아, 고령자는 증상이 더욱 심합니다.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증상이 악화됩니다.

(주)VCC클린메이트 

국내유일 보건소 소속업체로서

환경부에서 인증한 베이크아웃 시공이 

진행됩니다.

베이크 [BAKE]

전문기계로 실내전체의 온도를 단시간에 놓여 유해물질의 성질을 이용하여 공기중으로 방출시키는 과정

아웃 [OUT]

방출된 유해물질들을 실외 밖으로 완벽하게 배출해내는 과정- 플러쉬아웃
플러쉬아웃[Flush Out]이란 실내공기를 한번에 완전에 빼냄을 뜻함

이 과정이 완벽하지 않으면 베이크아웃의 시공의 의미가 없습니다.

새집증후군 제거

㈜VCC 클린메이트만의 차별점

베이크아웃+바이러스 살균케어+해충케어+피톤치드 향균탈취

이사 과정에서 유동하는
많은 인부들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차단(코로나 방역)

베이크아웃을 기본으로한
각종 시공의 결과를 통해
검증되고 확실한 새집증후군 케어

피톤치드 작업으로 숲과 같은
상쾌한 공기 (인공향을 넣지 않은
순수한 나무100%추출수 사용)

유해물질이 허용치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1차 2차 3차 4차 5차...에 상관없이 베이크 아웃이 무한반복 시공됩니다.
모든 수치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고객님께 전송됩니다.

모든 시공은 법적 유효한(강남구보건소 제294호) ‘소독 증명서’ 및 ‘작업 확인서’를 발행해 드립니다.

유해물질의 위험성

새 집으로 이사를 가거나 집, 사무실 등의 벽지나 바닥재를 바꿨을 때, 인테리어 공사를 한 뒤에 나타날 수 있는 코를 찌르는 매캐한 냄새와 눈이 따가워지는 등의 현상이 새집증후군으로 새집을 장만한 기쁨을 누리는 것도 잠시 뿐입니다. 새 건축물이나 새 가구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접착제, 벽지, 페인트 등에서 나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은 거주자들의 건강과 실내 생활의 불쾌감을 유발시킵니다. 이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은 대표적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하여 벤젠, 톨루엔, 아세톤, 스틸렌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물질들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방출되어 거주자들에게 급성 또는 만성적인 질환을 야기합니다.

[국내논문] 새집증후군 현상 및 유해가스 제거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Phenomenon of Sick House Syndrome and How to Remove Harmful Gases), 최유화

새아파트 입주후 2개월 동안 유해가스 발생량

구분
2개월 발생량
2개월 평당 발생량
1일 평균 발생량
6개월 예상발생량
μg/m²
ppm
μg
ppm
μg
ppm
μg
ppm
TVOC
1,038.6
0.83
9,596.7
7.68
159.9
0.13
28,790.0
23.03
톨루엔
227.8
0.18
2,104.9
1.68
35.1
0.03
6,314.6
5.05
포름알데히드
271.2
0.22
2,505.9
2.00
41.8
0.03
7,517.7
6.01
세톤
153.7
0.12
1,420.2
1.14
23.7
0.02
4,260.6
3.41
자일렌
69.5
0.06
642.2
0.51
10.7
0.01
0.01
1.54
스티렌
47.5
0.04
438.9
0.35
7.3
0.01
1,316.7
1.05
※ 1평당 발생량 계산식 : 발생량 × 3.3(평수계산변수) × 2.8(천장높이)
※ μg/m², ppm 환산 계산식 : 100μg/m² ≒ 0.08 ppm (포름 알데히드 기준)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보도자료 편집, 요약

신축건물의 유기성화합물질 분포도

포름알데히드(HCHO)의 방출량

가장 주목해야하는 건 포름알데히드(HCHO)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포름알데히드를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할 정도지만, 건축마감재와 합판, 내화보드, 집성보드, 단열재 등 이 성분이 포함된 수지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포름알데히드의 방출 수준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기간은 무려 5~6 년이며, 특히 실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은 실외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이 1천 배나 높을 수 있어 더 위험합니다.

포름알데히드


클린메이트 베이크아웃+플러쉬아웃 시공효과

베이크아웃 시공후의 포름알데히드 평균수치 변화


클린메이트 새집증후군 시공안내

㈜VCC 클린메이트에서는 가장 안전한 베이크아웃을 기반으로 시작해 추가작업이 병행되므로서 하나완벽한 새집증후군 시공이 완성됩니다. 

01

새집증후군 케어

법률 지정

「주택법」 제37조 및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65조에 명시된 베이크아웃 기반의 시공

02

바이러스 + 살균 케어

정부 인증

환경부 승인 살균,소독 제품 사용 공간 전체 방역 방역전문이수전문가 직접방역

03

피톤치드 전문 시공

100% 나무 추출수

소독업 인증 기업만 전문시공 가능 초미립자 살포기계사용 이수전문가직접시공

시공전과 시공후의 측정 결과를 공개합니다.

시공전 측정
시공후 측정

시공과정

STEP 01

사전측정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포름알데히드, VOC를 측정기를 통해 실내오염도 확인

각 방, 붙박이 장 안쪽, 싱크대, 신발장, 팬트리 발코니 등등 모든 공간 각각 체크

집 안의 가구 배치 , 공간의 개방감, 개구부 면적에 따라 유해물질의 방출양은 제각기 다릅니다.

따라서 모든 공간에서 각각 체크하여야 정확한 새집증후군의 제거가 가능합니다.

STEP 02

바이러스케어+세균,살균,소독

강남구 보건소가 인증한 전문 소독업체

22종 유효균주99.9& 제거와 동시에 새집증후군시공!

리모델링이후나 이사후, 많은 인부들의 접촉공간
새가구나새건축물의 각종 바이러스 제거효과
코로나 확진자의 접촉이나 격리공간
면역력이 약하여 바이러스 노출에 예민하신 분들
먼지다듬이, 진드기등공사시 발생되는 해충제거

STEP 03

베이크아웃

가구 및 건축재 내부의 포름알데히드 및 VOC 추출

포름알데히드 및 각종 유해물질은 상온에서는 배출되지 않습니다.
열풍기 사용으로 온도를 40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빠르게 화학물질을 공기중으로 추출합니다.
클린메이트에서는 석유를 사용하지 않고, 실내등유를 사용하여 열풍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2차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STEP 04

중간 수치 측정

온도가 40도 이상 올라가면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수치를 기록하여 정상적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STEP 05

플러쉬아웃

추출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시키는 작업이 가장 중요합니다. 수치를 체크하면서 진행합니다.

클린메이트에서는 강력한 배풍기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유해물질을 외부로 방출시킵니다.
선풍기, 써큘레이터, 창문환기 등의  자연환기를 시키게 되면 추출된 유해물질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온 집안에 퍼지거나, 재흡착 됩니다.
(배풍기 사용을 통해 환기 횟수 4배 이상 증가)

STEP 06

사후 수치 측정

클린메이트는 기준치 이하로 수치가 떨어질 때까지 베이크아웃 및 플러쉬아웃 작업이 무한시공 됩니다.

각 방, 붙박이 장 안쪽, 싱크대, 신발장, 팬트리 발코니 등등 모든 공간 각각 체크

모든 시공과정은 실시간으로 고객님께 현장사진이 전송됩니다.

STEP 07

100% 피톤치드 전문 시공

향균/탈취 작업 : 방역 이수 전문가가 직접 방문하여 전문시공이 진행됩니다.

나무에서 추출한 원액의 수액으로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100% 천연제품을 사용합니다.
집먼지진드기 생육 억제
라지오넬라균, 포도상구균 등 각종 항균 및 탈취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쾌적한 환경제공

베이크아웃 시공 효과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

[시행 2020.04.30][국토교통부고시 제 2020-368호, 2020.4.30, 일부개정]

국토교통부(주택건설공급과), 044-201-3373


Figure 9

Dimensionless concentration of TVOC under different baking temperaures.

Figure 7

Schematic of the removal amount of TVOC (Nr).

베이크 아웃 온도에 따른 TVOC 방출량 건강친화형 건물 기준치 온도 대비 45도로 유지하는 경우 2배 이상 많은 양 배출
베이크 아웃 시 시간에 따른 TVOC 방출량 증가 폭 감소(초기에는 폭발적으로 나오나 변곡점 이후 급격히 감소, 초기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사이에 TVOC 방출량의 절반 이상이 방출
45도로 온도 높일 시 8시간의 TVOC 방출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사이에 방출 가능

Figure 11

Dimensionless concentration of TVOC under air change rates.

환기횟수(Air change rate) 증가에 따라 방출된 TVOC 배기 시간 감소
배풍기 사용을 통해 환기 횟수 최대 4배 증가
건강친화형 건물 기준 2시간 환기 1시간- 30분으로 감소
베이킹 1시간 환기 30분 베이킹 1시간 환기 30분 베이킹 1시간 환기

참고문헌

Yang Lv, Jing Liu, Shanshan Wei & Haifeng Wang (2016) Experimental and simulation study on bake-out with dilution ventilation technology for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66:11, 1098-1108, DOI: 10.1080/10962247.2016.1200503

환경부(https://me.go.kr)에서 제시하는 예방방법

환경부 정책브리핑

새집증후군 주 원인 Formaldehyde

오존으로 잡을 수 없다!!

EPA(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과학적인 증거에 의하면 공공보건기준치 내의 오존량으로는 공기중의 오염물질 제거 효과가 미미하다.


첫째

실내 환경 내에서 발견될 수 있는 화학물질들을 오존 반응을 통해 제거하는 것은 몇 달 또는 몇 년이 소요될 수 있다. (Boeniger, 1995) 또한 오존 공기청정기 회사에서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오존 생성기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Esswein and Boeniger, 1994)


둘째

오존과 반응하는 화학물질들의 대다수의 경우 반응이 일어날 때 다양한 해로운 반응생성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Weschler et al., 1992a, 1992b, 1996; Zhang and Lioy, 1994)


셋째

오존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를 줄이는데 효과가 없다. (Esswein an Boeniger, 1994)


넷째

오존은 실내 식물 및 고무, 전선 코팅, 천, 민감한 염료를 포함하고 있는 미술 작품과 같은 물체들에 손상을 불러올 수 있다. (U.S. EPA, 1996a)

주택화재 원인별 발생 현황(10년간)


참고문헌

1.Boeniger, Mark F. 1995. Use of Ozone Generating Devices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56: 590-598. 2.Esswein, Eric J.; Boeniger, Mark F. 1994. Effects of an Ozone-Generating Air-Purifying Device on Reducing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in Air. Applied Occupational Environmental Hygiene. 9(2):139-146. 3.Weschler, Charles J.; Brauer, Michael; and Koutrakis, Petros. 1992a. Indoor Ozone and Nitrogen Dioxide: A Potential Pathway to the Generation of Nitrate Radicals, Dinitrogen Pentaoxide and Nitric Acid Indoors.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6(1):179-184. 4.Weschler, Charles J.; Hodgson Alfred T.; and Wooley, John D. 1992b. Indoor Chemistry: Ozo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Carpet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6(12):2371-2377. 5.Weschler, Charles J; and Shields, Helen C. 1996. Production of the Hydroxyl Radical in Indoor Air.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0(11):3250-3268. 6.Zhang, Junfeng and Lioy, Paul J. 1994. Ozone in Residential Air: Concentrations, I/O Ratios, Indoor Chemistry and Exposures. Indoor Air.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Indoor Air Quality and Climate. 4:95-102. 7.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1996. Air Quality Criteria for Ozone and Related Photochemical Oxidants. Research Triangle Park, NC: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RTP Office; report nos. EPA/600/P-93/004aF-cF, 3v. NTIS, Springfield, VA; PB-185582, PB96-185590 and PB96-185608.

바이러스 케어 살균소독의 필요성

22종 유효균주 99.9% 제거와 동시에 새집증후군 시공!

리모델링이후나 이사후,
많은 인부들의 접촉이 있었던공간
새가구나 새건축물이 매개체가 되어
옮겨올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 제거효과
가코로나 확진자의 접촉이나
격리 공간
면역력이 약하여
바이러스 노출에 예민하신 분들

22종 유효 균주

식약처 허가 살균력 테스트 인증


황색토도상규균 (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야균 (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균 (Yersinia enterocolytica)

살모넬라균 (salmonella choleraesuis)

다재내재성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반코마이신내성장내구균 (vancomycin-resistan tenterococcus faecalis-VRE)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a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C형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HCV)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노로바이러스 (norovirus)

대장균 (escherichia coli)

장출혈성 대장균 (esherichia coli O157:H7)

살모넬라균 (salmonella typhi)

B형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HBV)

홍역바이러스 (measles virus)

폴리오 바이러스 (polio virus)

에이즈 바이러스,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 (AIDS virus:HIV-1)

인체 코로나 바이러스 (human corona virus)
-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는 인체코로나 바이러스 변종 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influenza A/Brazil virus, influenza A/Victoria(H3N2)virus, influenza A2-Asian virus, influenzaB virus, influenza C virus)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 (influenza A virus-Swine flu virus-H1N1)

환경부 인증 소독 제품 사용

방역에 사용되는 모든 약품은 환경부의 허가를 받은 제품으로 중앙방역대책본부 바이러스유효균주 22종이상 99.99% 제거 가능한 인증된 제품만을 사용
잔존하는 바이러스까지 에탄올83% 소독으로 완전박멸

공간 전체 방역 & 자외선 살균

자사의 기술력으로 보완된 노하우로 손이 닿지 않는 곳이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곳을 포함한 모든 공간 전체가 방역 가능
자외선 살균으로 인체가 직접 닿는 곳은 더 안전하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권장한 살균방법 !

자외선(UV)은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을 가진 빛으로 정수, 공기청정 등 다양한 살균에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UV-C는 자외선 중 가장 짧은 파장(253.7nm)을 지녀 단파장이라고 불리며,
세균핵에 흡수되어 DNA를 파괴하는 작용을 합니다.

빛의 스펙트럼

피톤치드 시공 효과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원액의 수액으로 인공원료를 첨가하지 않은 100%천연제품을 사용합니다.

01새집의 대표적 유독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줄여줍니다.
(KTR 시험연구원 검사성적서)
02새집 또는 헌집의 아토피, 천식, 알러지의 주원인인 집먼지진드기 생육을 억제합니다.
03새라지오넬라균, 포도상구균 등 각종 균과 바이러스에 강력한 항균작용 및 뛰어난 탈취기능으로 실내의 생활악취제거에 효과적입니다.
04새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쾌적작용 등
다양한 삼림효과를 제공합니다. 
편백피톤치드 검사성적서


최근 대표시공

집이 건강해야 가정이 건강합니다.


이제 집안에서도 숲속의 향긋함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이용에 따라 ‘소독증명서’ ‘작업보고서’ ‘바이러스 안심공간 인증마크’ 를 발행해 드립니다.

대한민국 국민이
안심할수 있는 그날까지
클린메이트는 함께 하겠습니다


새집증후군

자주 묻는 질문

당신이 믿을 수 있고, 고객이 믿을 수 있는
깨끗한 환경을 선물 하겠습니다.

새집증후군 이란?

(Sick building syndrome)

출처 :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정의

새집증후군은 새로 지은 집에 입주했을 때 이전에 없던 이상 증상이 신체에 나타나는 것을 통칭하는 명칭입니다.
집안의 공기 오염에 의한 반응 중 화학 물질에 의한 반응을 의미합니다.


원인

새집 증후군은 휘발성 화학물질 때문에 발생합니다.
대표적인 물질은 포름알데히드입니다.
포름알데히드는 자극성 냄새를 가진 무색 기체로, 물에 잘 녹는 특성이 있습니다.
주로 방부제, 접착제의 원료(건축, 가구 산업), 실내 장식을 위한 스프레이식 페인트에 사용되어 문제를 일으킵니다.
새집에 포름알데히드를 함유한 건축 자재를 사용했다면 이것이 수년 동안 실내로 방출될 수 있습니다.

이외의 실내 화학물질로는 크실렌, 톨루엔, 벤젠, 유기인 및 연소방지제 등이 있습니다.
이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내장제입니다.
특히 염화비닐은 천장, 벽, 마루의 쿠션, 시트 등에 많이 사용됩니다.


증상

새집으로 이사한 직후 여러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토피 피부염, 천식 등 기존의 알레르기 질환이 악화되거나, 특별한 이유 없이 두드러기가 생깁니다.
눈, 코, 후두 및 기도 점막의 자극에 의해 증상이 나타납니다.
눈이 아프거나 가렵고, 목이 따갑거나 쉬고, 기침하는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이외에 비특이적 증상으로 두통을 호소하거나, 쉽게 피로하거나, 무기력증에 빠질 수 있습니다.

새집 증후군으로 인한 증상은 개인차가 큰 편입니다.
면역력이 약한 유아, 고령자는 증상이 더욱 심합니다.
알레르기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는 증상이 악화됩니다.

(주)VCC클린메이트는

 국내유일 보건소 소속업체로서
환경부에서 인증한 베이크아웃 기반의 시공이 진행됩니다.

베이크 [BAKE]

전문기계로 실내전체의 온도를 단시간에 놓여 유해물질의 성질을 이용하여 공기중으로 방출시키는 과정

아웃 [OUT]

방출된 유해물질들을 실외 밖으로 완벽하게 배출해내는 과정- 플러쉬아웃
플러쉬아웃[Flush Out]이란 실내공기를 한번에 완전에 빼냄을 뜻함

이 과정이 완벽하지 않으면 베이크아웃의 시공의 의미가 없습니다.

새집증후군 제거

㈜VCC 클린메이트만의 차별점

베이크아웃+바이러스 살균케어+해충케어+피톤치드 향균탈취

이사 과정에서 유동하는
많은 인부들로 인한
바이러스 감염 차단(코로나 방역)

베이크아웃을 기본으로한
각종 시공의 결과를 통해
검증되고 확실한 새집증후군 케어

피톤치드 작업으로 숲과 같은
상쾌한 공기 (인공향을 넣지 않은
순수한나무100%추출수 사용)

유해물질이 허용치 이하로 떨어질 때까지 1차 2차 3차 4차 5차...에 상관없이 베이크 아웃이 무한반복 시공됩니다.
모든 수치 데이터는 실시간으로 고객님께 전송됩니다.

모든 시공은 법적 유효한(강남구보건소 제294호) ‘소독 증명서’ 및 ‘작업 확인서’를 발행해 드립니다.

유해물질의 위험성

새 집으로 이사를 가거나 집, 사무실 등의 벽지나 바닥재를 바꿨을 때, 인테리어 공사를 한 뒤에 나타날 수 있는 코를 찌르는 매캐한 냄새와 눈이 따가워지는 등의 현상이 새집증후군으로 새집을 장만한 기쁨을 누리는 것도 잠시 뿐입니다. 새 건축물이나 새 가구에 사용되는 건축자재, 접착제, 벽지, 페인트 등에서 나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은 거주자들의 건강과 실내 생활의 불쾌감을 유발시킵니다. 이 휘발성 유기화합물들은 대표적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비롯하여 벤젠, 톨루엔, 아세톤, 스틸렌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러한 물질들은 장시간에 걸쳐 서서히 방출되어 거주자들에게 급성 또는 만성적인 질환을 야기합니다.

[국내논문] 새집증후군 현상 및 유해가스 제거방안 연구 (Research on the Phenomenon of Sick House Syndrome and How to Remove Harmful Gases), 최유화

새아파트 입주후 2개월 동안 유해가스 발생량

구분
2개월 발생량
2개월 평당 발생량
1일 평균 발생량
6개월 예상발생량
μg/m²
ppm
μg
ppm
μg
ppm
μg
ppm
TVOC
1,038.6
0.83
9,596.7
7.68
159.9
0.13
28,790.0
23.03
톨루엔
227.8
0.18
2,104.9
1.68
35.1
0.03
6,314.6
5.05
포름알데히드
271.2
0.22
2,505.9
2.00
41.8
0.03
7,517.7
6.01
세톤
153.7
0.12
1,420.2
1.14
23.7
0.02
4,260.6
3.41
자일렌
69.5
0.06
642.2
0.51
10.7
0.01
0.01
1.54
스티렌
47.5
0.04
438.9
0.35
7.3
0.01
1,316.7
1.05
※ 1평당 발생량 계산식 : 발생량 × 3.3(평수계산변수) × 2.8(천장높이)
※ μg/m², ppm 환산 계산식 : 100μg/m² ≒ 0.08 ppm (포름 알데히드 기준)

자료 : 국립환경과학원 보도자료 편집, 요약

신축건물의 유기성화합물질 분포도

포름알데히드(HCHO)의 방출량

가장 주목해야하는 건 포름알데히드(HCHO)입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포름알데히드를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할 정도지만, 건축마감재와 합판, 내화보드, 집성보드, 단열재 등 이 성분이 포함된 수지가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포름알데히드의 방출 수준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데 걸리는 기간은 무려 5~6 년이며, 특히 실내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은 실외보다 폐에 전달될 확률이 1천 배나 높을 수 있어 더 위험합니다.

포름알데히드


클린메이트 베이크아웃+플러쉬아웃 시공효과

베이크아웃 시공후의 포름알데히드 평균수치 변화


클린메이트 새집증후군 시공안내

㈜VCC 클린메이트에서는 가장 안전한 베이크아웃을 기반으로 시작해 추가작업이 병행되므로서
하나의 완벽한 새집증후군 시공이 완성됩니다.

01

새집증후군 케어

법률 지정

「주택법」 제37조 및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65조에 명시된 베이크아웃 기반의 시공

02

바이러스 + 살균 케어

정부 인증

환경부 승인 살균,소독 제품 사용 공간 전체 방역 방역전문이수전문가 직접방역

03

피톤치드 전문 시공

100% 나무 추출수

소독업 인증 기업만 전문시공 가능 초미립자 살포기계사용 이수전문가직접시공

시공전과 시공후의 측정 결과를 공개합니다.

시공전 측정
시공후 측정

시공과정

STEP 01

사전측정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포름알데히드, VOC를 측정기를 통해 실내오염도 확인

각 방, 붙박이 장 안쪽, 싱크대, 신발장, 팬트리 발코니 등등 모든 공간 각각 체크

집 안의 가구 배치 , 공간의 개방감, 개구부 면적에 따라 유해물질의 방출양은 제각기 다릅니다.

따라서 모든 공간에서 각각 체크하여야 정확한 새집증후군의 제거가 가능합니다.

STEP 02

바이러스케어+세균,살균,소독

강남구 보건소가 인증한 전문 소독업체

22종 유효균주99.9& 제거와 동시에 새집증후군시공!

리모델링이후나 이사후, 많은 인부들의 접촉공간
새가구나새건축물의 각종 바이러스 제거효과
코로나 확진자의 접촉이나 격리공간
면역력이 약하여 바이러스 노출에 예민하신 분들
먼지다듬이, 진드기등공사시 발생되는 해충제거

STEP 03

베이크아웃

가구 및 건축재 내부의 포름알데히드 및 VOC 추출

포름알데히드 및 각종 유해물질은 상온에서는 배출되지 않습니다.
열풍기 사용으로 온도를 40도 이상으로 유지하여 빠르게 화학물질을 공기중으로 추출합니다.
클린메이트에서는 석유를 사용하지 않고, 실내등유를 사용하여 열풍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2차 유해물질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STEP 04

중간 수치 측정

온도가 40도 이상 올라가면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수치를 기록하여 정상적으로 빠져나오는 과정을 수시로 확인합니다.

STEP 05

플러쉬아웃

추출된 유해물질을 외부로 빠르게 배출시키는 작업이 가장 중요합니다.
수치를 체크하면서 진행합니다.

클린메이트에서는 강력한 배풍기를 사용하여 신속하게 유해물질을 외부로 방출시킵니다.
선풍기, 써큘레이터, 창문환기 등의  자연환기를 시키게 되면 추출된 유해물질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온 집안에 퍼지거나, 재흡착 됩니다.
(배풍기 사용을 통해 환기 횟수 4배 이상 증가)

STEP 06

사후 수치 측정

클린메이트는 기준치 이하로 수치가 떨어질 때까지 베이크아웃 및 플러쉬아웃 작업이 무한시공 됩니다.

각 방, 붙박이 장 안쪽, 싱크대, 신발장, 팬트리 발코니 등등 모든 공간 각각 체크

모든 시공과정은 실시간으로 고객님께 현장사진이 전송됩니다.

STEP 07

100% 피톤치드 전문 시공

향균/탈취 작업 : 방역 이수 전문가가 직접 방문하여 전문시공이 진행됩니다.

나무에서 추출한 원액의 수액으로 화학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100% 천연제품을 사용합니다.
집먼지진드기 생육 억제
라지오넬라균, 포도상구균 등 각종 항균 및 탈취
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쾌적한 환경제공

베이크아웃 시공 효과

건강친화형 주택 건설기준

[시행 2020.04.30][국토교통부고시 제 2020-368호, 2020.4.30, 일부개정]

국토교통부(주택건설공급과), 044-201-3373


Figure 9

Dimensionless concentration of TVOC under different baking temperaures.

Figure 7

Schematic of the removal amount of TVOC (Nr).

베이크 아웃 온도에 따른 TVOC 방출량 건강친화형 건물 기준치 온도 대비 45도로 유지하는 경우 2배 이상 많은 양 배출
베이크 아웃 시 시간에 따른 TVOC 방출량 증가 폭 감소(초기에는 폭발적으로 나오나 변곡점 이후 급격히 감소, 초기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사이에 TVOC 방출량의 절반 이상이 방출
45도로 온도 높일 시 8시간의 TVOC 방출 1시간에서 1시간 30분 사이에 방출 가능

Figure 11

Dimensionless concentration of TVOC under air change rates.

환기횟수(Air change rate) 증가에 따라 방출된 TVOC 배기 시간 감소
배풍기 사용을 통해 환기 횟수 최대 4배 증가
건강친화형 건물 기준 2시간 환기 1시간- 30분으로 감소
베이킹 1시간 환기 30분 베이킹 1시간 환기 30분 베이킹 1시간 환기

참고문헌
Yang Lv, Jing Liu, Shanshan Wei & Haifeng Wang (2016) Experimental and simulation study on bake-out with dilution ventilation technology for building material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66:11, 1098-1108, DOI: 10.1080/10962247.2016.1200503

환경부(https://me.go.kr)에서 제시하는 예방방법

환경부 정책브리핑

새집증후군 주 원인 Formaldehyde

오존으로 잡을 수 없다!!

EPA(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과학적인 증거에 의하면 공공보건기준치 내의 오존량으로는 공기중의 오염물질 제거 효과가 미미하다.


첫째

실내 환경 내에서 발견될 수 있는 화학물질들을 오존 반응을 통해 제거하는 것은 몇 달 또는 몇 년이 소요될 수 있다. (Boeniger, 1995) 또한 오존 공기청정기 회사에서 주장하는 것과는 달리 오존 생성기는 포름알데히드를 제거하는데 효과적이지 않다. (Esswein and Boeniger, 1994) 


둘째

오존과 반응하는 화학물질들의 대다수의 경우 반응이 일어날 때 다양한 해로운 반응생성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 (Weschler et al., 1992a, 1992b, 1996; Zhang and Lioy, 1994)


셋째

오존의 경우 포름알데히드의 농도를 줄이는데 효과가 없다. (Esswein an Boeniger, 1994)


넷째

오존은 실내 식물 및 고무, 전선 코팅, 천, 민감한 염료를 포함하고 있는 미술 작품과 같은 물체들에 손상을 불러올 수 있다. (U.S. EPA, 1996a)

주택화재 원인별 발생 현황(10년간)


참고문헌
1. Boeniger, Mark F. 1995. Use of Ozone Generating Devices to Improve Indoor Air Quality.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Journal. 56: 590-598.
2. Esswein, Eric J.; Boeniger, Mark F. 1994. Effects of an Ozone-Generating Air-Purifying Device on Reducing Concentrations of Formaldehyde in Air. Applied Occupational Environmental Hygiene. 9(2):139-146.
3. Weschler, Charles J.; Brauer, Michael; and Koutrakis, Petros. 1992a. Indoor Ozone and Nitrogen Dioxide: A Potential Pathway to the Generation of Nitrate Radicals, Dinitrogen Pentaoxide and Nitric Acid Indoors.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6(1):179-184.
4. Weschler, Charles J.; Hodgson Alfred T.; and Wooley, John D. 1992b. Indoor Chemistry: Ozon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Carpets.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26(12):2371-2377.
5. Weschler, Charles J; and Shields, Helen C. 1996. Production of the Hydroxyl Radical in Indoor Air.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0(11):3250-3268.
6. Zhang, Junfeng and Lioy, Paul J. 1994. Ozone in Residential Air: Concentrations, I/O Ratios, Indoor Chemistry and Exposures. Indoor Air.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Indoor Air Quality and Climate. 4:95-102.
7.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 EPA). 1996. Air Quality Criteria for Ozone and Related Photochemical Oxidants. Research Triangle Park, NC: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RTP Office; report nos. EPA/600/P-93/004aF-cF, 3v. NTIS, Springfield, VA; PB-185582, PB96-185590 and PB96-185608.

바이러스 케어 살균소독의 필요성

22종 유효균주 99.9% 제거와 동시에 새집증후군 시공!

리모델링이후나 이사후,
많은 인부들의 접촉이 있었던공간
새가구나 새건축물이 매개체가 되어
옮겨올수 있는 각종 바이러스 제거효과
코로나 확진자의 접촉이나
격리 공간
면역력이 약하여
바이러스 노출에 예민하신 분들

22종 유효 균주

식약처 허가 살균력 테스트 인증























황색토도상규균 (staphylococcus aureus)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Bacillus cereus)
리스테리야균 (Listeria monocytogenes)
예르시니아균 (Yersinia enterocolytica)
살모넬라균 (salmonella choleraesuis)
다재내재성 녹농균 (pseudomonas aeruginosa)
반코마이신내성장내구균 (vancomycin-resistan tenterococcus faecalis-VRE)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a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C형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HCV)
로타바이러스 (rotavirus)
노로바이러스 (norovirus)
대장균 (escherichia coli)
장출혈성 대장균 (esherichia coli O157:H7)
살모넬라균 (salmonella typhi)
B형간염 바이러스 (hepatitis B virus-HBV)
홍역바이러스 (measles virus)
폴리오 바이러스 (polio virus)
에이즈 바이러스, 인체면역결핍 바이러스 (AIDS virus:HIV-1)
인체 코로나 바이러스 (human corona virus)
- 신종코로나 바이러스는 인체코로나 바이러스 변종 입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influenza A/Brazil virus, influenza A/Victoria(H3N2)virus, influenza A2-Asian virus, influenzaB virus, influenza C virus)
조류플루엔자 바이러스 (influenza A virus-Swine flu virus-H1N1)

환경부 인증 소독 제품 사용

방역에 사용되는 모든 약품은 환경부의 허가를 받은 제품으로 중앙방역대책본부 바이러스유효균주 22종이상 99.99% 제거 가능한 인증된 제품만을 사용
잔존하는 바이러스까지 에탄올83% 소독으로 완전박멸

공간 전체 방역 & 자외선 살균

자사의 기술력으로 보완된 노하우로 손이 닿지 않는 곳이나, 눈에 보이지 않는 곳을 포함한 모든 공간 전체가 방역 가능
자외선 살균으로 인체가 직접 닿는 곳은 더 안전하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권장한 살균방법 !

자외선(UV)은 가시광선보다 짧은 파장을 가진 빛으로 정수, 공기청정 등 다양한 살균에 사용됩니다.
그 중에서도 UV-C는 자외선 중 가장 짧은 파장(253.7nm)을 지녀 단파장이라고 불리며,
세균핵에 흡수되어 DNA를 파괴하는 작용을 합니다.

빛의 스펙트럼


피톤치드 시공 효과

편백나무에서 추출한 원액의 수액으로 인공원료를 첨가하지 않은 100%천연제품을 사용합니다.

01새집의 대표적 유독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줄여줍니다.
(KTR 시험연구원 검사성적서)
02새집 또는 헌집의 아토피, 천식, 알러지의 주원인인
집먼지진드기 생육을 억제합니다.
03라지오넬라균, 포도상구균 등 각종 균과 바이러스에
강력한 항균작용 및 뛰어난 탈취기능으로 실내의
생활악취제거에 효과적
입니다.
02새스트레스 호르몬 감소, 쾌적작용 등
다양한 삼림효과를 제공합니다. 

편백피톤치드 검사성적서



최근 대표시공

집이 건강해야 가정이 건강합니다.


이제 집안에서도 숲속의 향긋함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이용에 따라 ‘소독증명서’ ‘작업보고서’ ‘바이러스 안심공간 인증마크’ 를 발행해 드립니다.

대한민국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그날까지

클린메이트는 함께 하겠습니다

아니요. 난방으로는 40도 이상의 온도가 불가능합니다. (중앙난방 및 지역난방 기준온도 참고)

아니요. 배풍기를 활용한 급속 배풍이 이루어 지지 않으면 화학물질들은 다른곳 재흡착 됩니다.

최소 3회이상 반복실시 해야 하며, 공기질 & 화학물질 수치측정을 하고, 결과값에 따라 4회, 5회가 반복실시 되어야 합니다.

베이크 아웃이 실시되는 사이에 분해제 작업 + 향균탈취 시공이 동시에 진행 됩니다. 잔존하는 화학물질들 까지도 완벽 분해하여 배출시키는 과정을 거쳐야만 시공의 의미가 있습니다.

클린메이트 에서는 40℃ ~45℃의 온도를 유지하여 화학물질을 분해한후, 급속으로 외부로 방출 시키고, 동시에 분해작업과 향균탈취시공이 진행되기 때문에 완벽한 증후군 해결이 가능합니다.

상호 : (주)VCC 클린메이트  

대표이사 : 송정화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로 174-10 

          강남에이스타워G9, 711호

대표번호 :  02) 6221-0036 

긴급번호 : 010-4400-0036  (통화/문자가능)

이메일 : cleanmate123@gmail.com

※ 클린메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에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무단으로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Cleanmate. all rights reserved.


상호 : (주)VCC 클린메이트  l 대표이사 : 송정화  l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자곡로 174-10 강남에이스타워G9, 711호
대표번호 : 02)6221-0036 / 010-4400-0036 (통화/문자) l 이메일 : cleanmate123@gmail.com

※ 클린메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컨텐츠는 저작권법에 보호받는 저작물로서, 무단으로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에 의하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19Ⓒ Cleanmate. all rights reserved.